본문 바로가기
틱과 ADHD

운동 - 대뇌반구통합치료(HIT)로 ADHD 개선한다

by Summeride 2024. 7. 18.

운동을 통해 대뇌 기능을 개선해 ADHD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는 신문기사를 보고 근거가 있는지, 어떤 운동을 하면 되는지 궁금해 관련 논문을 찾아보았다. 대부분 좌/우뇌의 불균형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협응능력을 요하는 운동, 균형감각을 요하는 운동 등이 이에 해당했다. 찾아본 논문에서는 음악과 메트로놈에 맞춰 박자를 맞추는 단순한 활동만으로도 ADHD증상이 개선되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운동을 통한 두뇌개발 도움 줘
이번 치료에 사용된 운동치료법은 대뇌반구 통합 치료(Hemispheric Intergration Therapy, HIT)로 일명 HIT프로그램이라고 불린다. 조지아주 라이프대학 의학센터 캐릭(Carrick) 박사의 기능성신경학(Functional Neurology)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대뇌반구와 대뇌반구 안의 기능들이 어떻게 균형이 깨어졌는지를 파악한 후 기능이 떨어진 부위를 감각훈련법, 신체훈련법, 학습훈련법을 통해 중점적으로 발달시키는 방법이다. 일반 아동들의 두뇌발달에도 도움이 되며, 특히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 ADHD, 틱장애, 학습장애, 발달장애 등의 질환을 개선하는 데에 있어 미국, 일본, 유럽, 호주 등 선진국에서는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장원웅 연구원장은 "ADHD, 틱장애 등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전두엽의 기능이상으로 인한 좌뇌와 우뇌의 불균형이라는 학설이 힘을 얻고 있다"며, "뇌의 불균형은 뇌의 구조적 손상이 아니라 뇌의 기능적인 이상으로 행동, 감정, 학습 등을 조절하는 뇌의 전전두엽, 기저핵, 시상 및 소뇌 등의 연결고리에 문제로 발생하는 것이다" 라고 말했다.

 

 

 

 

대뇌반구 통합 치료(HIT)란?

 

학습 장애와 관련된 반구 불균형에 대한 다중 모드 접근 방식을 통합한 뇌 기반 재활 프로그램.

뇌의 영역이 서로 제대로 통신하지 못해 뇌가 비동기화되는 약하고 기능 저하된 신경 경로를 강화하는 것.

 

뇌는 두 개의 반구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반구는 독립적으로 그리고 전체적으로 작동하는 특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뇌는 시각, 후각, 촉각, 미각, 균형, 조정, 정밀 및 총체적 운동 기술, 언어, 얼굴 인식 및 감정 반응 등 모든 인간의 기능을 제어한다. 뇌는 신체 전체의 수용체로부터 이러한 기능을 제어하는 ​​정보를 받는데, 이 수용체와 뇌로 이어지는 경로가 손상되거나 약하거나 제대로 발달하지 않으면 기능 장애와 의사소통 오류가 발생한다. 

이 치료의 초점은 "뇌와 신체"와 "신체와 뇌" 사이에 입력을 제공하는 수용체를 열거나 강화하는 것이다, 뇌의 좌우측을 표적으로 삼을 수 있는 특정 운동이라는 것. 근육을 운동시키는 것처럼 뇌를 운동시켜 경로를 구축하고 강화한다.

 

 


The Integration of the Neurosciences, Child Public Health, and Education Practice: Hemisphere-Specific Remediation Strategies as a Discipline Partnered Rehabilitation Tool in ADD/ADHD

신경과학, 아동 공중보건 및 교육 관행의 통합:
ADD/ADHD에서 학문 협력 재활 도구로서의 대뇌 반구 특정 치료 전략

논문링크

Abstract 

ADD/ADHD is the most common and most studied neurodevelopmental problem. Recent statistics from the U.S. Center for Disease Control state that 11% or approximately one out of every nine children in the US and one in five high school boys are diagnosed with ADD/ADHD. This number is thought to be increasing at around 15–20% per year. The U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s Multi-modal Treatment Study has shown that medication has no long-term benefit for those with ADHD. To effectively address ADD/ADHD from within the framework of child public health, an interdisciplinary strategy is necessary that is based on a neuroeducational model that can be readily implemented on a large-scale within the educational system. This study is based on previous findings that ADD/ADHD children possess underactivity between sub-cortical and cortical regions. An imbalance of activity or arousal in one area can result in functional disconnections similar to that seen in split-brain patients. Since ADD/ADHD children exhibit deficient performance on tests developed to measure perceptual laterality, evidence of weak laterality or failure to develop laterality has been found across various modalities (auditory, visual, tactile). This has reportedly resulted in abnormal cerebral organization and ineffective cortical specializatio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language and non-language function. This pilot study examines groups of ADD/ADHD and control elementary school children all of whom were administered all of the subtests of the Wechsler Individual Achievement Tests, the Brown Parent Questionnaire, and given objective performance measures on tests of motor and sensory coordinative abilities. Results measured after a 12-week remediation program aimed at increasing the activity of the hypothesized underactive right hemisphere function, yield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greater than 2 years in grade level in all domains except in mathematical reasoning. The treated group also display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behavior with a reduction in Brown scale behavioral scores. Non-treated control participants did not exhibit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the same 12 week period in academic measurements. Contro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reatment participants in all domains after a 12-week period. The non-treatment group also demonstrated an increase in behavioral scores and increased symptoms of ADD/ADHD over the same time period when compared to the treated group. Result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concept of functional disconnectivity in ADD/ADHD children.

 

 

ADD/ADHD는 가장 흔하고 가장 많이 연구된 신경발달 문제입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최근 통계에 따르면 미국 어린이 9명 중 1명, 고등학생 5명 중 1명이 ADD/ADHD 진단을 받았습니다. 이 수치는 매년 약 15~20%씩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미국 국립정신건강연구소의 다중 모드 치료 연구에 따르면 약물은 ADHD 환자에게 장기적인 이점이 없습니다. 아동 공중보건의 틀 안에서 ADD/ADHD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려면 교육 시스템 내에서 대규모로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신경교육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학제간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 연구는 ADD/ADHD 어린이가 피질하 영역과 피질 영역 사이에 활동성이 낮다는 이전 연구 결과에 근거합니다. 한 영역에서 활동이나 각성의 불균형은 분할 뇌 환자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기능적 단절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ADD/ADHD 아동은 지각적 편측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테스트에서 부족한 성과를 보이기 때문에, 다양한 양식(청각, 시각, 촉각)에서 편측성이 약하거나 편측성을 개발하지 못하는 증거가 발견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언어 및 비언어 기능의 발달에 필요한 비정상적인 뇌 조직과 비효과적인 피질 특수화가 초래되었다고 합니다. 이 시범 연구는 ADD/ADHD 그룹과 통제 초등학교 아동을 조사합니다. 이 그룹 모두 Wechsler 개인 성취 테스트의 모든 하위 테스트, Brown Parent Questionnaire를 실시하고 운동 및 감각 조정 능력 테스트에서 객관적인 성과 측정을 실시했습니다. 가설된 저활동성 우반구 기능의 활동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 12주간의 교정 프로그램 후 측정한 결과, 수학적 추론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학년 수준이 2년 이상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치료 그룹은 또한 Brown 척도 행동 점수가 감소하면서 행동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치료받지 않은 대조군 참가자는 같은 12주 기간 동안 학업 측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대조군은 12주 기간 후 모든 영역에서 치료 참가자와 유의미하게 달랐습니다. 치료받지 않은 그룹은 또한 치료군과 비교했을 때 같은 기간 동안 행동 점수가 증가하고 ADD/ADHD 증상이 증가했습니다. 결과는 ADD/ADHD 어린이의 기능적 단절 개념의 맥락에서 논의됩니다.

 

 

절차

치료-중재

초기 치료 전 평가에는 감각 및 운동 기능의 기능적 평가와 아래에 설명된 대로 별도의 날에 학업 테스트가 포함되었습니다. 결합된 테스트를 통해 임상의는 치료 그룹 참가자를 위한 교정 프로그램을 공식화할 수 있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주어진 참가자의 연령 또는 기능 수준보다 상당히 낮은 기술을 선택적으로 자극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작업은 덜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반구를 자극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23 ). 각 참가자는 12주 기간 동안 주 3회, 한 번에 1시간씩 이 다중 모드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 각 치료 그룹 참가자는 그 기간 동안 감각 자극, 운동 훈련, 유산소 근력 및 컨디셔닝, 학업 훈련을 포함한 특정 학제 간 감독 활동을 거쳤습니다. 대부분의 참가자가 요법을 준수했지만 모든 참가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또한 요법에는 원시 반사 억제 운동과 학업 홈 트레이닝 운동, 반구 음악 자극, 식이 변화 및 라이프스타일 관리가 사용되었습니다. 12주 동안 36회 세션을 거친 후, 참가자들은 다시 감각, 운동 및 학업 성취도에 대한 동일한 배터리 테스트를 받았으며, 여기에는 부모 행동 체크리스트 작성도 포함되었습니다. 동일한 개인이 치료 전과 치료 후 세션 동안 학업 테스트를 수행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아동의 실제 연령 및/또는 학년 수준과 같거나 그 이상의 생리적 균형, 시간적 일관성 및 기술의 균등성을 달성하려고 시도했습니다.

동기화된 메트로놈 훈련(SMT)이 사용되었습니다. 치료 그룹의 참가자는 헤드폰을 착용하고 반복되는 메트로놈 비트를 들었습니다. 그들은 비트를 듣는 동안, 한 손바닥에 센서를 부착하여 박수를 치는 것과 같은 신체 움직임에 참여하면서 신체 움직임을 비트의 표현에 맞췄습니다(예: 비트에 박수를 칩니다). 훈련은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메트로놈 비트를 정상적으로 추적하는 동안 평균적인 음의 동기화 오류를 줄이는 것을 시도했습니다(비트 전이나 후에 박수를 칩니다). 훈련하는 동안, 참가자는 간단하고 상호 작용하는 신체 움직임을 진행하면서 청각적 안내 시스템을 통해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피드백은 시각적 자극을 통해서도 제공되었지만, 청각적 피드백 안내 시스템이 주요 피드백 방법이었습니다. 청각적 피드백 시스템은 참가자가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청각적 메트로놈 비트 전, 비트에서 또는 비트를 지나서 반응했는지를 나타내는 음조 자극을 제공했습니다. 참가자의 메트로놈 비트에 대한 기대 반응의 정확도는 밀리초(ms) 단위로 제공되었으며, 다른 톤은 메트로놈 비트에서 멀리, 가까이 또는 비트에서를 나타냅니다. 밀리초 지연 시간의 시각적 판독도 컴퓨터 화면에서 참가자들에게 제시되었습니다. 이러한 개입 절차는 다른 곳에서 정신물리적 신호 감지 기능의 효과적인 변화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습니다( 24 , 25 ).

훈련의 목적은 메트로놈 비트의 시작과 비트에 대한 참가자의 기대 반응 사이의 지연 시간을 줄여 참가자의 타이밍/리듬성을 개선하는 것이었습니다. 치료 프로그램을 완료한 후, 참가자는 약 25,000회의 운동 반복에 참여했습니다. 이 절차의 목적은 도메인별 SMT 기반 개입의 개선과 학업 및 ADD/ADHD 기능 분야의 도메인 일반 개선 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었습니다. ( 22 , 24 )에서 더 자세히 설명했습니다.